잡담

UX/UI 디자이너가 겪는 고충

자이언트젤리 2025. 2. 25. 10:25

 

안녕하세요. 여러분~디자인 270이에용👨‍👧‍👧
이전에 디자이너들의 고충에 대해서 다뤘었죠?

오늘은 더 자세하게 파고들어 UX/UI 디자이너들의 고충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UX/UI 디자이너는 다른 디자인 분야와는 조금 다른 고충을 겪습니다.
그래픽 디자인이나 웹 디자인은 물론 공통적인 어려움도 있지만, UX/UI 디자인 특유의 난이도와 복잡한 요소들이 존재하죠.
이 직업은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를 넘어, 사용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고충이 많습니다.
오늘은 많은 UX/UI디자이너들이 공감할 만한 고충들을 함께 나눠볼까 합니다.🔥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자인과 기능성의 균형 맞추기

UX/UI 디자인의 가장 큰 핵심은 바로 사용자 경험이에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쁜 화면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그 화면을 어떻게 사용할지, 어떤 경험을 할지에 대한

고민이 담겨야 합니다. 그만큼 디자인에서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해요.

예를 들어, 버튼 하나를 배치할 때도, 버튼이 예뻐야 하지만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클릭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고,

그 기능이 명확해야 합니다.
디자인이 너무 예쁘게만 가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고, 기능만 강조하면 시각적으로는 밋밋한 결과물이 될 수 있죠.
이 두 가지를 동시에 고려하는 작업은 상호작용 디자인을 요구하며, 많은 고민과 시간이 필요해요.
또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할 때도 예뻐야 하면서도 실용적이어야 하므로,

두 가지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일이 매우 까다로워요.🙄

 

 


 

 

이미지 출처 : 유튜브 How to Create a User Flow Diagram

사용자 흐름을 설계하는 어려움

UX/UI 디자이너는 사용자 흐름을 설계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나 앱을 이용하면서 어떤 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지, 이를 고려해서 디자인을 해야 하죠.
단순히 보기 좋게 디자인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들어왔을 때, 원하는 정보나 서비스로 어떻게 이동할지, 각 페이지를 클릭할 때마다 무엇을 기대할지,
이런 모든 경험을 미리 계획해야 해요.📖
이 과정에서 디자인의 직관성을 최대한 끌어내야 하며,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도록 디자인을 세심하게 구성해야 합니다.
사용자 흐름이 잘못 설계되면, 결국 사용자 경험이 나빠지고, 사용자가 사이트나 앱을 떠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테스트와 피드백을 통한 디자인 반복

UX/UI 디자인은 반복적인 개선 과정이 필수입니다. 첫 디자인이 완성되었다고 해도, 끝이 아니라는 거죠.
대부분의 디자인은 사용자 테스트를 거쳐야 하며, 그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반복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앱을 만들고 나서 실제 사용자가 그 앱을 사용해 보았을 때, 원래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불편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을 수 있어요.
이런 부분을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이 반복되죠.
사용자 테스트를 통한 피드백은 때로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문제를 드러내기도 하며, 그것을 개선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피드백을 받으면서 수시로 디자인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정말 많이 소모됩니다.😫

 

 


모바일과 데스크탑 버전의 차이를 고려한 디자인

오늘날 UX/UI 디자이너들은 모바일 우선 디자인을 많이 채택하고 있지만, 동시에 반응형 디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양한 화면 크기에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구현하려면, 각 디바이스별로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죠.
모바일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던 UI 요소들이 데스크탑 화면에서는 너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작은 화면에서는 손가락으로 클릭하기 쉬운 버튼이 데스크탑에서는 마우스 클릭으로도 적합하지 않게 될 수 있어요.
이럴 때 디자인을 어떻게 최적화할지, 화면 크기에 맞는 요소 크기나 배치를 어떻게 조정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모바일과 데스크탑을 모두 고려한 디자인은, 각각의 기기에서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작업은 그 자체로도 매우 까다로운 도전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brunch.co.kr/@jennyjang93

디자인 시스템과 스타일 가이드 구축

디자인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고민이 필요하죠. 디자인 시스템은 색상, 폰트, 버튼 스타일, 아이콘 세트 등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을 일관되게 정의하는 작업인데,
이런 시스템이 잘못 구축되면 프로젝트가 진행될수록 일관성이 떨어지고, 중복된 작업이 발생할 수 있어요.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바뀌면서 색상이나 글꼴 스타일을 변경해야 할 때, 디자인 시스템을 수정해야 하고 그 수정이 전체 UI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렇게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려면, 처음부터 철저한 기획과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지만, 디자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걸리기도 한답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velog.io/@juhee067

기술적인 제약과의 싸움

UX/UI 디자이너는 디자이너일 뿐만 아니라 개발자와의 협업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디자인을 실제 제품으로 구현할 때는, 종종 기술적인 제약에 부딪히기도 해요. 개발자들이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디자인을 해야 하므로,
때때로 원하는 대로 디자인을 완벽히 구현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

복잡한 애니메이션이나 인터랙티브한 요소를 추가하고 싶을 때, 개발팀에서 그 기능을 구현하는 데 제한이 있다면 디자이너는 그에 맞는 대체 방안을 고민해야 하죠.
이 과정에서 디자이너와 개발자 간의 협업이 중요한데, 기술적인 한계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을 제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디자이너는 최신 기술 동향도 알고 있어야 하며, 때로는 디자인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기술적인 현실을 반영해야 할 때가 많아요. 💧💧

 

 


 

 

UX/UI 디자인, 끝없는 도전이자 성장

이렇게 UX/UI 디자이너가 겪는 고충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를 넘어서 사용자의 경험과 기술적 요구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UX/UI디자이너들의 머리를 아프게 하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책임감이 크고, 매번 새로운 도전이 주어지기도 해요. 하지만 그 어려운 과정들을 통해 점차 성장하고, 더 나은 디자인을 만들어갈 수 있는 보람을 느낄 수 있으며 결국에는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그 과정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매일 조금씩 더 나은 디자인을 위해 힘쓰는 UX/UI 디자이너들, 그리고 모든 디자이너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파이팅🌟

저희는 그럼 더 재밌는 포스팅으로 찾아뵐께요! ❤ 많❤관 ❤ 부 ❤